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변화하는 명절 선물 트렌드 : 실용성에서 가심비, 취향 맞춤형 선물로

by ocn71 2025. 1. 24.
728x90
반응형


명절 선물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실용성’을 중심으로 한 선물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개인의 ‘취향’과 ‘가심비’(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도)가 중요해지면서 선물 선택이 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통업계는 소비자들의 새로운 요구를 반영한 상품을 출시하며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다.

대학내일 20대연구소



1. 명절 선물 시장의 성장

명절 선물 시장 규모는 약 2조 원에 달하며, 이는 매년 확대되고 있다. 전 세대에서 취향소비가 확산되면서 가공식품과 생활용품을 넘어 개인 취향을 반영한 선물 품목들이 선호되고 있다. 세대별로 선호하는 선물 항목이 다르며, 이를 반영한 마케팅 전략이 중요해졌다.

 

2. 세대별 선호도 차이

모든 세대에서 '현금'이 가장 받고 싶은 선물로 꼽혔으며,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는 디지털 기기와 온라인 상품권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Z세대는 디저트와 배달 플랫폼 상품권을 선호하는 등 다른 세대와는 다른 특징을 보였다. 젊은 세대는 가공식품 선호도가 낮고, 과일이나 정육 같은 실용적이면서도 개인적인 취향을 반영한 선물을 선호한다.

 

3. ‘가심비’를 겨냥한 선물 트렌드

유통업계는 실용성보다는 심리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선물에 집중하고 있다. 예쁘거나 특이한, 혹은 희소성이 있는 선물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예를 들어, 명품 뷰티 제품이나 고급 주류 선물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한정판 제품이나 유명 셰프와 협업한 상품들도 증가하고 있으며, 가격대가 높은 프리미엄 선물들이 주목받고 있다.

 

4. 유통업계의 혁신적인 선물 구성

이마트는 명품 화장품 브랜드의 뷰티 세트를 출시하며, 롯데백화점과 GS리테일은 한정 수량으로 고급 와인이나 코냑, 마누카꿀 등을 선보이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은 세계적인 명주들을 모아 프리미엄 주류를 선물 세트로 구성,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명절 선물 시장은 과거의 실용성 중심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과 가심비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통업계는 다양한 시도를 통해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으며, 앞으로도 선물의 가치가 물질적인 것보다 심리적 만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