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연도 표기법인 ‘BC’와 ‘AD'는 단순한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기호가 아니라, 인류 역사와 종교, 문화의 기준점을 의미하는 기념비적인 표현입니다.
BC와 AD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준으로 시간의 앞과 뒤를 나누는 서력 기원 체계로, 역사 연대 표기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종교적 색채를 배제한 BCE와 CE의 사용도 증가하면서, 전통적인 표기와 현대적 표기의 차이에 대한 이해가 중요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BC와 AD의 정의, 역사적 배경, 사용 방식, BCE/CE의 의미 등 연대 표기법 전반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본론
1. BC와 AD의 어원과 의미
BC는 Before Christ의 약자로, 예수 그리스도 탄생 이전을 의미합니다.
예: BC 100년 = 예수 탄생 100년 전
AD는 Anno Domini의 약자로, 예수 탄생 이후를 뜻하며 라틴어로 “주님의 해”라는 뜻입니다.
예: AD 2025년 = 예수 탄생 후 2025년
2. BC와 AD의 표기 위치
BC는 숫자 뒤에 표기: 예) 100 BC
AD는 숫자 앞에 표기: 예) AD 2025
→ 하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둘 다 숫자 뒤에 표기하는 경우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3. 왜 예수의 탄생이 기준이 되었는가?
서기 6세기, 로마 수도사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가 기독교 달력 체계를 정리하면서 예수의 탄생을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이는 기독교 중심 사회였던 유럽에서 점차 국제 표준으로 확산되었습니다.
4. BCE와 CE의 등장과 배경
BCE: Before Common Era (공통 기원 이전)
CE: Common Era (공통 기원)
종교적 중립성과 포괄성을 위해 등장한 용어이며, 연대 기준은 BC/AD와 동일합니다.
예: BC 100년 = BCE 100년 / AD 2025년 = CE 2025년
주로 학술지, 역사 서적, 교육 현장 등에서 사용되며, 다문화 사회에 더 적합한 표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5. 한국어에서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한국에서는 ‘기원전’(BC)과 ‘서기’(AD)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예: 기원전 300년, 서기 1000년
특히 ‘서기’는 AD의 정확한 의미를 살리기 위해 번역된 표현으로, 현대 언론과 교과서에서도 널리 사용됩니다.
6. 전 세계에서의 표기 사용 현황
영어권 국가에서는 AD와 BC가 여전히 흔히 사용되지만, 학술기관이나 박물관, 다문화 교육 환경에서는 BCE/CE가 선호됩니다. 국제기구 및 유엔 공식 문서에서도 종교적 중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BCE/CE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7. 왜 이 차이를 알아야 할까?
역사나 고대 문헌을 이해할 때 연대 표기를 정확히 해석하는 것은 시간 흐름을 인식하는 핵심 열쇠입니다.
또한 다양한 문화와 종교를 이해하는 글로벌 소통 능력을 키우는 데에도 중요합니다.
결론
BC와 AD는 단순한 연도 구분이 아니라, 기독교 중심 시대에서 시작된 인류의 시간 기준입니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과 함께 종교적 중립성과 다양성이 강조되면서 BCE/CE라는 포괄적이고 현대적인 연대 표기법도 병행하여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두 체계의 의미와 배경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인식과 문화적 소통 능력을 함께 키울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과거를 구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지금과 미래를 바라보는 지적 기준을 만드는 일이기도 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낯을 가리다” 자연스러운 영어 표현 정리: (0) | 2025.06.22 |
---|---|
시간”과 “시각”의 정확한 차이점: 헷갈리는 두 단어 완벽 정리 (1) | 2025.06.22 |
기장군 다자녀 가정 양육 바우처 지원 안내 (2025년 신청 필수!) (1) | 2025.06.21 |
제15회 한무숙 소설 독후감 대회 공모 (2) | 2025.06.20 |
제12회 2025 대한민국 과학소재 단편소설 공모전 (1)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