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4년 4분기, 생활필수품 가격 상승과 그 원인 분석"

by ocn71 2025. 2. 1.
728x90
반응형


2024년 4분기 동안 서울과 경기도 내 주요 유통업체에서 판매된 생활필수품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에 따르면, 39개 주요 품목의 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평균 1.1% 올랐으며, 일부 품목은 20% 이상 가격이 급등했다. 특히, 맛김, 고추장, 간장, 참기름, 케첩 등 음식 관련 품목들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가격 인상의 원인과 향후 전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1. 맛김 가격 급등: 원재료 가격 상승
지난해 4분기, 맛김의 가격은 23.6% 상승하며 가장 큰 폭의 가격 인상을 기록했다. 원재료인 김 원초 가격이 급등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기후 변화 등으로 김 원초의 생산에 어려움이 생기면서 가격이 올랐고, 이에 따라 맛김의 가격이 상승했다. 특히 동원F&B와 풀무원의 맛김 가격이 각각 28.7%, 19.2% 상승하였다. 다만,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12월 김 생산량이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 올해 생산량도 예년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맛김 가격의 상승세는 다소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2. 고추장, 간장, 참기름, 케첩 가격 상승
고추장(9.9%), 간장(7.9%), 참기름(7.2%), 케첩(6.4%) 등 주요 식료품들의 가격도 큰 폭으로 올랐다. 특히 참기름 가격은 CJ제일제당과 오뚜기가 각각 10% 이상 인상했으며, 이는 참깨 원재료 가격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최근 참깨 원재료 가격이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어 가격 인하 가능성도 존재한다.

3. 가격 하락 품목: 햄, 식용유, 두루마리화장지 등
반면, 4분기 동안 가격이 하락한 품목도 존재했다. 햄(-6.9%), 식용유(-5.5%), 두루마리화장지(-4.1%), 밀가루(-3.4%), 소주(-3.4%) 등의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하락했다. 이는 일부 제품의 원재료 가격이 안정세를 보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4. 원재료 가격 불안정과 기후 변화의 영향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지난해 생필품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기후 변화로 인한 원재료 가격 불안정성을 지목했다. 2022년 밀, 대두 가격 급등을 시작으로 원당, 원두, 카카오, 김 등 다양한 원재료 가격이 급등하면서 식품 가격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큰 부담을 주었으며,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결론

2024년 4분기 동안 여러 생필품 가격이 상승하며 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됐다. 특히, 맛김, 고추장, 간장, 참기름 등의 가격 인상이 두드러졌고, 이는 원재료 가격 상승과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았다. 이에 따라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정부 차원의 중장기적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가격 상승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향후 가격 변동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소비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될 것이다.

728x90
반응형